본문 바로가기
화장품 성분학

4. 유성원료

by 가온들찬빛 2022. 5. 27.

1. 식물성 오일

  •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, 중합, 축합 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정도에 따라 건성유, 반건성유, 불건성유로 나눌 수 있다.
  • 건성유 : 지방산 구조의 불포화도가 높고, 요오드 값이 130 이상이면 건성유라고 한다. 건성유는 공기 중에서 표면에 막이 생기고 서서히 굳는 현상이 나타난다.
  • 반건성유 : 요오드 값이 100~130이면 반건성유가 된다.
  • 불건성유 : 불포화도가 낮고 요오드 값이 100 이하이면 불건성유가 된다. 불건성유는 공기 중에서 건조되지 않는다. 
  • 요오드 값 : 유지에 염화 요오드를 작용시킬 때 유지 100g에 흡수되는 염화 요오드의 양에서 요오드의 양을 환산하여 그램 수로 나타낸 것. 요오드 수 라고도한다. 일반적으로 유지류에 요오드를 작용시키면 2중 결합 하나에 대해 요오드가 2 원자 첨가되기 때문에 유지의 불포화도를 나타낼 수 있다.
  • 식물성 오일은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.

      1-1. 올리브 오일

  • 물푸레나무과의 올리브나무에서 나는 열매를 압착하여 얻는 지방 유이다.
  • 화장품으로써의 주요 용도는 피부에 유연한 감촉을 주고, 피부 표면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선탠오일, 마사지 오일의 기제, 각종 크림, 두발류 제품 등에 주로 사용된다.
  • 최근에는 올리브 오일에 친수성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부가 중합하여 스킨류 등에 사용감 개선을 위한 용도인 수용성 오일로 만들어 사용되기도 한다.
  • 또, 올리브 오일의 주요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인 세테아릴 알코올을 반응시켜 얻은 에스테르 형태의 천연물 유도 계면활성제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.

 

      1-2. 동백오일

  • 차나무과인 동백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것으로 불건성유이며, 응고점이 낮아 추운 겨울철에도 액상으로 존재한다.
  • 동백유는 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며, 올리브 오일과 유사한 올레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올리브유와 비슷한 용도로 크림, 유액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, 특히 두발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.

      1-3. 피마자오일

  • 피마자의 종자에서 얻어지는 무색 또는 담황색의 점도가 있는 지방 유이며, 약간 특이한 냄새와 맛을 가지고 있다.
  • 피마자오일은 친수성이 다른 유지보다 강하고 점성이 있으면서, 에탄올에 용해된다는 특성이 있다. 이러한 특성이 립스틱에서 이 높은 점도를 이용한 안료의 분산제로 사용하여 반제품인 착색제를 만들고, 염료의 용해제로 사용되기도 한다.
  • 포마드와 같은 정발제에 사용되었고, 알코올에 용해성을 이용하여 헤어로션의 트리트먼트제로 사용한다.
  • 다른 주요 용도로는, 수소를 첨가한 후 친수성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을 부가 중합하여 친수성을 더욱 증대시킨 계면활성제에 사용한다.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스킨류 제조의 가용화제로 사용된다.
  • 피마자유에 수소를 첨가한 것을 경화 피마자유라고 한다. 경화 피마자유는 수소첨가의 가감에 따라 융점이 높은 Wax상에서부터 융점이 낮은 Paste상까지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. 화장품의 종류 중에서 립스틱과 포마드가 피마자유를 중요 성분으로 사용한다.

      1-4. 아보카도 오일

  • 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주 혹은 플로리다주에서 자라는 아보카도 나무의 과실에서 냉동 압착하여 추출한 지방 유이다.
  • 피부친화성과 퍼짐 성이 좋아 피부에 탄력과 건성 노화 피부에 효과가 있고, 살균효과와 민감한 피부에 진정효과가 있다.
  • 하지만,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공기 중에 오랫동안 노출시키면 좋지 않다.
  • 아보카도유는 시토스테린의 함유로 피부로의 침투성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.
  • 크림, 마사지 오일 등의 기제에 사용되고 있으며, 피부에 침투성이 없는 여러 종류의 활성물질의 매개체의 역할도 담당한다.

      1-5. 아몬드 오일

  • 장미과의 감편도와 그 변종의 핵인에서 얻은 지방 유로서 아몬드의 씨에서 추출하며, 스위트 아몬드 오일과 버터 아몬드 오일이 있다.
  • 화장품에는 스위트 아몬드 오일이 사용된다.
  • 용도는 올리브유와 비슷하게 쓰인다. 각종 크림, 로션, 에몰리엔트제 및 마사지 오일 등에 사용되며, 건성, 노화 및 민감성 피부와 어린이용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.

      1-6. 마카다미아 넛 오일

  • 호주가 원산지이며, 상록수인 마카다미아 넛의 열매에서 추출한 것으로 지방산 조성이 인체의 피지와 유사하기 때문에 피부친화성이 좋으며, 감촉이 우수하여 에몰리엔트제로 사용한다.
  • 크림, 유액 및 입술연지 등에 사용한다.
  • 이 오일은 바른 후, 바로 피부에 흡수되기 때문에 바니싱 오일이라 한다.

      1-7. 밀배아 오일

  • 밀배아(소맥 배아) 유는 벼과인 밀의 배아에서 채취된 지방 유이다.
  • 산화안정성이 높고, 비타민 E 효과를 기대하여 화장품에서는 에몰리언트 크림에 사용된다.

      1-8. 그레이프시드 오일

  • 포도과의 포도의 종자를 압착하여 얻은 지방 유이다.
  • 산화안정성이 우수하며, 화장품에서의 용도로는 물과의 친화성이 좋고, 사용감이 부드러워 크림, 유액 등의 에몰리언트 효과를 위한 기제로 사용한다. 또한 선탠오일의 기제로 사용되고 헤어제품의 트리트먼트제나 메이크업 제품에 사용된다.

      1-9. 로즈힙 오일

  • 남미나 유럽에서 생육하는 장미과의 Dog Rose의 종자를 압착하여 얻어지는 지방 유이다.
  •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다른 식물유와 비교하여 리놀산 및 리놀렌산의 함량이 약 80% 정도로 많다.
  • 피부의 습윤성, 염증이 억제, 세포조직의 부활에 기여하고, 노화 예방을 위한 화장품에 자주 사용되는 식물유이다.

 

 

출처 - 알기 쉬운 화장품 성분학 (박초희 지음

'화장품 성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. 유성원료(3)  (0) 2022.05.28
4. 유성원료(2)  (0) 2022.05.28
3. 수성원료  (0) 2022.05.26
2. 유기화학 (2)  (0) 2022.05.25
2. 유기화학  (0) 2022.05.24

댓글